본문 바로가기

끄적거림

국회의원들도 악성 댓글에 시달려

국회의원들 68% 악성댓글에 시달린다

국회의원들의 하는 행동을 보면 나라를 위해 일을 하는 국회의원인지 나라에 해를 끼치는  국해의원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국민은 안중에도 없고 나라를 위한 정책은 연구하지 않고  당리당략에만 빠져 있고 성추문이나 일으키고 뇌물이나 받고 그러고도 요리조리 법망을 잘도 피해간다. 이런 국회의원들한테 한마디해주고 싶지만 우리가 만날 시간도 없고 우리가 만나고 싶다고해도  아무 힘도 없는 우리 소시민을 만나줄 국회의원도 별로 없다.   이런 불만을 터트릴 곳이 기사에 댓글을 달거나 의원 홈페이지에가서 글을 남기는 것이다. 

열린우리당 김선미 의원이 의원회관 의원실을 대상으로 악성 댓글 설문 조사를 했는데 143명의 의원 중 68% 정도가 악성 댓글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설문 조사를 의원이 했는지 보좌관들이 했는지 나와 있지 않지만 설마 의원이 했을까하는 생각이다.

악성 댓글은 직접 의원의 홈페이지로 찾아가서 글을 남기는 경우가 71%로 가장 많았다.  가장 적극적인 방법으로 보오고 그나마 의원들이 조금 신경 쓸 곳이 아닌가하다.  그냥 홍보를 위해 만들어 둔 것이고 이걸 1달에 몇번이나 방문할까하는 의문도 들지만 보좌진들이 보고 보고라도 한번 하지 않을까 싶다.
다음으로 포털 사이트가 14%, 뉴스 기사 6%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포털 기사나 뉴스 기사를 보고 있을 의원들이 얼마나될까?  자기가 좋아하는 종이 신문을 보면서 자기가 엄청 잘하는 줄 알고, 비리가 있어도 용서해줄줄 알고 있지 않을까 싶다.

이에 대한 대처는 그냥 묵인하고 넘어가는 양상이 64%를 보이고, 글 삭제 및 지적 답글 등 적극적인 대응은 고작 26%였다고 한다.  64% 중에서 묵인하고 넘어간다고했는데 묵인은  무시라는 단어로 바꾸어야 정확하지 않을까 한다.  삭제와 답글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26%였다고 기사에는 나와 있다.  삭제는 너희 들 말이 말같지 않으니 지워버린다는 완전한 무시인데 이게 적극적인 대응이라고한다니 기가 찰 나름이다.(의원들이 그렇게 생각하는지, 분석한 의원이 구분한 것인지 아니면 기사를 작성한 기자가 분리한 것인지는 나와 있지 않아 모르겠지만 분석한 의원이 그리 분류하지 않았을까하는 추측이다). 지적한 글에 대한 답글이 그나마 적극적인 대응인데 이건 그중에 몇 %나될까?

악성댓글을 근절하려면 법적 제도적 측면을 보완 및 강화하자는 답변이 57%, 악성댓글 게시자처벌 약 25%, 댓글서비스 자체 중단 약 10% 순으로 조사됐다.

기사 내용을 보니 어떤게 악성 댓글인지 나와 있지 않고(반대하는 기사면 악성 댓글?) 악성 댓글은 언제 달고,  왜 다는지에 대한 조사는 없어 보인다. 댓글에 대한 대책으로도 앞으로 그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신 똑바로 차리고 일 열심히 하겠다하는  내용은 없어 보인다. 

그냥 국회의원들이 보면 기분나쁜 글들이 있는데 이거 어떻게하면 쓸 수 없게 만드느냐에 대해서만 조사를 했나보다.  제대로 하려면 쓰지 않아도될 아니 선플만 달게할 그런 상황을 만들어 주라.

관련 기사 : 국회의원들 68% 악성댓글에 시달린다(전자신문)